본문 바로가기
공부하는 만복이

경제용어 : 하이퍼 인플레이션과 리디노미네이션의 개념과 이해

by 만복회 2022. 12. 7.

하이퍼 인플레이션이란 물가가 통제를 벗어나 살인적인 속도, 즉 1개월에 50% 초과 또는 50일마다 2배 이상으로 상승하는 극단적인 물가상승 현상을 말하는 것인데요, 흔히 '초 인플레이션'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한 국가 경제으 생산능력의 한계에 도달함으로써 화폐에 대한 사회적 신뢰가 무너진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이퍼 인플레이션 리디노미네이션
하이퍼 인플레이션 리디노미네이션

 

◈ 하이퍼 인플레이션의 발생 원인

1. 전쟁, 혁명 등 사회가 크게 혼란한 상황 또는 정부가 재정을 지나치게 방만하게 운용하면서 통화량을 대규모로 공급할 때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통화량이 급증하는 본질적 원인은 정부가 재정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화폐 발행에 지나치게 의존하였기 때문입니다.

3.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경제 주체가 물가가 더 오를 것이라고 예상한다면 물가가 오르기 전에 돈을 더 많이 지출하려 할 것이고, 통화량이 증가하게 되면서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심화되는 악순환이 발생하게 됩니다.

 

 하이퍼 인플레이션의 악영향

하이퍼 인플레이션은 물가상승으로 인한 거래비용이 급증하게 함으로써 실물경제에 타격을 가하게 되는데요, 화폐의 가치가 극도로 낮아져서 교환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상실하므로 물물교환이 성행하거나 다른 나라의 화폐에 의존하게 되며, 이때 거래비용은 상승하고, 생산활동은 크게 위축하게 됩니다.

 

 하이퍼 인플레이션의 해결 방안 

화폐의 제 기능을 회복시키고, 물가가 급등할 것이라는 일반 대중의 기대심리르 바로 잡아야 할 것이며, 하지만 하이퍼 인플레이션을 해결을 위해 정부가 신뢰를 회복하고 경제주체의 기대심리를 전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기 때문에 하이퍼 인플레이션은 단순히 화폐 액면 단위만을 바꾸는 디노미네이션으로는 쉽게 해소할 수 없는 것입니다

 

 

 

리디노미네이션의 개념과 이해

1. 리디노미네이션(Redenomination)

① 리디노미네이션은 화폐단위의 변경을 뜻하는 것으로, 종전에는 디노미네이션이라 불렸으나 화폐단위의 변경을 나타내려면 '리디노미네이션' 또는 '디노미네이션(액면가)의 변경'이라 표현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② 리디노미네이션은 구매력이 다른 새로운 화폐단위를 만들어 현재의 화폐단위로 표시된 가격, 증권의 액면가, 예금, 채권, 채무 등 일체의 금액을 법정 비율에 따라 일률적으로 하향 조정해 새로운 화폐단위로 표기 및 호칭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리디노미네이션의 목적

급격한 인플레이션 후에 국민들으 일상의 거래, 회계 등을 간략화하기 위해 리디노미네이션을 실시하며, 이때 통화를 평가절하하거나 경제 활동에 실질적인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데요, 또한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억제, 자국 통화의 대외적 위상 제고, 지하자금으 양성화, 세수 증대 증을 위해 리디노미네이션을 실시하게 됩니다.

3. 리디노미네이션의 한계

화폐단위 변경으로 인한 불안심리의 확산, 새로운 화폐 발행에 따른 화폐 제조비용, 신구 화폐의 교환 및 컴퓨터 시스템의 교환 등 부대비용이 많이 소모되게 됩니다. 또한 체감지수의 변화를 동반하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물가변동 등 실질 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