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는 만복이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 딜레마

by 만복회 2023. 1. 6.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윤리적 쟁점을 접하며, 어려운 윤리적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을 접하게 됩니다. 윤리적 딜레마는 주요 가치에 기반을 두고 있는 전문직의 의무와 책무가 상충하는 상황에서 발생하게 되는데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사회복지사가 겪게 되는 다양한 가치갈등의 유형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가치상충이다.

가치상충은 윤리적 딜레마가 가장 빈번히 야기될 수 있는 상황으로, 사회복지사가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경쟁적 가치와 직면했을 때 갈등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세 번째 아이를 임신한 직장여성인 클라이언트가 남편에게 알리지 않고 낙태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회복지사는 비밀보장과 생명보호의 가치 사이에서 윤리적 갈등을 경험하게 됩니다.

 

2. 클라이언트 체계의 다중성이다.

부적응 아동, 아내 학대 등 복합적인 문제를 다룰 때 사회복지사는 누가 클라이언트인지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데요, 누구의 이익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어떠한 문제에 먼저 개입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치매를 앓고 있는 노인에 대한 방임문제, 부양자인 아들 부부의 수발로 인한 갈등문제, 치매 노인과 한 방을 써야 하는 손자녀의 반항문제가 가정 내에 복합적으로 있을 때 노인의 관점, 부양자의 관점, 손자녀의 관점, 부모 부양에 관한 사회규범 등 다양한 가치의 영향으로 윤리적 딜레마가 발생하게 됩니다.

 

3. 의무상충이다.

사회복지사는 기관에 대한 의무와 클라이언트에 대한 의무 사이에서 갈등하게 됩니다. 사회복지사는 자신이 속한 기관의 정책을 따라야 하지만 기관의 목표가 클라이언트 이익 우선의 원칙에 위배되면 윤리적인 딜레마에 직면하게 됩니다. 클라이언트의 이익이 최선이라는 가치를 지켜야 하지만 기관의 한정된 자원으로 인해 클라이언트에게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사례는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미한 정신적 어려움을 갖고 있지만 노숙자 쉼터에서 생활하면서 공공근로를 계속하기 원하는 클라이언트가 있을 때, 사회복지사도 계속 도와주고는 싶지만 다른 클라이언트와의 공동생활의 어려움으로 인해 정신요양시설로 보내야 한다는 기관의 결정이 내려지면 의무상충의 갈등 상황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4. 결과의 모호성이다.

사회복지사가 내리게 될 윤리적 결정의 결과가 최선이 될지, 올바른 결정이 어떤 것인지 모호한 상황에 직면하게 될 때 선택의 딜레마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해외입양이 아동을 위한 최선의 결정인지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해외입양 담당 사회복지사는 갈등을 자주 겪게 됩니다.

 

5. 전문가와 클라이언트 간의 힘 또는 권력의 불균형이다.

클라이언트는 도움을 요청하는 입장이므로 전문가에게 의존하는 관계가 되기 쉽습니다.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 클라이언트 이익의 최우선성, 의사결정에서 클라이언트의 참여 우선성 등의 요인에 높은 가치를 두고 있지만, 사회복지실천 과정에서 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나이가 어리거나 지적장애로 인한 능력의 제한으로 클라이언트가 현실적으로 결정이나 선택할 수 없는 경우, 전문가에게 의존하는 상황이 됩니다.